난간제작


난간제작

현재 LG화학의 앞선 기술력은 LG전자를 비롯한 그룹 계열사 경쟁력의 탄탄한 밑바탕으로 작용하고 있다.

1. LG화학 CEO 박진수 부회장_증명
지난달 31일 LG화학의 대전 기술연구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연 박 부회장은 “미래 준비를 위한 핵심·원천 기술 개발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2025년 50조원 매출 규모의 글로벌 톱 5 회학 회사로 도약하겠다”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1. LG화학 CEO 박진수 부회장_증명0박진수 LG화학 부회장. /제공 = LG화학아시아투데이 최원영 기자 = “올해는 LG화학 연구개발(R&D)에 처음으로 조단위 비용을 투자하는 기념비적인 해다.

박 부회장이 에너지·물·바이오·신소재 등 지목한 각 사업을 회사의 주축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지 업계가 지켜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박 부회장의 과감한 R&D 투자 행보는 기술력으로 난국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020년엔 1조4000억원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공약이다.

당초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해 구축해 놓은 중국공장내 물량은 인근 국가로 수출하거나, ESS용으로 대체하는 등 임의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대규모 비용을 쏟아 붓는 만큼, 아직 투자 대비 이렇다 할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전기차배터리 등 미래사업을 성공적으로 키워내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는 부담도 커졌다.

”LG화학을 전기차배터리 세계 1위 회사로 키워낸 박진수 부회장이, 중국의 사드 몽니와 미국의 트럼프노믹스로 경영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도 안정이 아닌 사상 최대 규모 투자를 택했다.

LG화학은 현재 중국의 사드 무역보복 조치에 현지 공급길이 막히면서 고 가 전하고 가 있다.

지난해 7800억원이던 R&D 비용을 올해 1조원으로 28% 늘리고 가 , 이날 박 부회장은 “단기간에 사업화될 제품을 위한 R&D뿐만 아니라 미래 준비를 위한 R&D에도 선도적이고 가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요컨대 LG화학의 휘거나 감는 앞선 배터리 기술력이 없었다면 LG전자 휴대폰의 과감한 디자인 혁신도 없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이다.

앞으로 매년 10% 이상 투자비를 늘리고 가 이를 바탕으로 2025년 매출 50조원, 글로벌 넘버 5로 회사를 키우겠다.

회사 매출액의 약 4%인 1조원을 R&D에 쏟기로 한 것으로, 이는 국내 동종업계 최대일 뿐 아니라 글로벌 화학기업인 바스프(3.8%)나 다우케미칼(3.3%)등의 매출액 대비 투자액과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